알라딘

조선상식문답 8 : 회화편

최남선 지음 | 온이퍼브
  • 등록일2018-01-24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9 M  
  • 지원기기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 평점 평점점 평가없음

책소개

-본문 중에서nn미술과 예술은 대체로 의미를 공통적적으로 갖는 말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미술(美術)이라는 말은 대개 조형(造形)미술을 의미하며 더 좁게는 회화(繪畵), 조각을 가리키는 예도 있습니다.nn고구려 화가로 이름을 우리나라에 전한 인물은 아마 없는듯합니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스이코(推古) 천황 18년(고구려 영양왕 21년, 경오년, 610)에 고구려에서 승려 담징(曇徵)과 법정(法定)이 오니, 담징은 불전뿐 아니라 유가(儒家)의 오경(五經)에도 능통했으며 종이와 먹의 채색과 맷돌(연애??)을 만들었다고 하였다.nn통일 신라 시대에 내려와서 다른 예술과 함께 회화가 한층 더 발전되었을 것은 얼른 상상되는 대로 남아있는 유적으로서 고찰할 것이 없다. 고구려와 백제에서 보는 것과 같은 고분 벽화조차 발견할 수 없음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이 유감스러운 일입니다.nn신사임당은 율곡의 어머니로 도덕과 재주를 함께 칭송하는데 그림에도 능통하여 여류화가로 우리나라 고금에 가장 뛰어나고 영모화훼(翎毛花卉) 등의 작품은 꽤 많이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두성령(杜城令)은 영모잡화(翎毛雜畵), 신잠(申潛)은 묵죽(墨竹), 채무일(蔡無逸)은 초충(草蟲)으로 이름났습니다.nn끝을 날카롭게 한 인두를 불에 달궈서 지폭(紙幅)(종이), 대나무 조각 등에 글씨나 그림을 검게 지져내는 것을 낙필(烙筆) 또는 낙화(烙畵)라고 합니다.

저자소개

시인, 출판가, 문화운동가 등으로 활약하며 근대 초기 우리 문학 및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대대로 잡과 합격자를 배출한 중인 집안의 영향 속에서 최남선은 어린 시절부터 신문명과 관련된 서적들을 접할 수 있었다. 독학으로 한글을 깨치고 7∼8세 무렵에는 한문을 배워 중국어로 번역된 신문명 서적을 읽었다. 13세가 되던 해인 1902년에는 경성학당에서 일본어를 배워 일본어로 된 신문과 잡지를 통해 서구의 근대 풍경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했다.

15세가 되던 해인 1904년 대한제국 황실유학생에 선발되었다. 일본 도쿄에 있는 동경부립제일중학교에서 유학했고 이듬해 집안 사정으로 인해 유학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1906년에 재차 일본 유학길에 올라 와세다 대학 지리역사과에서 공부했지만 1907년 3월 학업을 중단했다. 하지만 바로 돌아오지 않고 이듬해인 1908년 8월에 귀국했다. 약 2년 3개월간 일본에 체류하면서 일본의 신문물, 특히 출판에 큰 자극을 받았다. 1908년 일본에서 인쇄 기구를 들여와 경성에 신문관(新文館)을 설립했다. 이 신문관에서 발간한 잡지가 한국 최초의 근대 잡지인 ≪소년≫이다. ≪소년≫이 한일강제합병 이후 일제의 압력으로 폐간된 뒤에도 ≪붉은 저고리≫, ≪아이들 보이≫, ≪새별≫, ≪청춘≫ 등의 잡지 출판을 이어 갔다.

잡지 출판 외에 조선의 고서적을 발굴 출판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는 일본이 조선의 고서를 출판한 데 따른 충격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는 1911년 조선광문회를 설립하며 조선의 고서를 자주적으로 발굴하고 출판해 널리 보급하고자 했다. 일본 유학 시절부터 관심을 가졌던 ‘조선적인 것’에 대한 탐구는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이후에 단군에 대한 연구 등으로 확장되었다.
계몽운동에 대한 탐구와 조선적인 것에 대한 열망은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행동에 옮겨지기도 했다. 그는 당시 민족대표 33인 또는 민족대표 49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으며 <기미독립선언서>를 기초했다. 이에 최남선은 3.1 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일제에 의해 투옥되었다. 2년 8개월의 수감 기간 동안 최남선은 1920년대 자신이 추구할 작업의 기초를 다졌는데, 그것을 출감 후 <단군론>(1926), <불함문화론>(1927) 등으로 구현해 냈다. 이 작업들은 역사학과 민속학과 관련된 작업들이었는데 <심춘순례>, <백두산 근참기> 등의 현장 답사 기행문 등과 병행했다. 이는 조선적인 것의 기원을 찾으려는 일련의 작업들이었다. 물론 이 시기에도 주간 잡지 ≪동명(東明)≫(1922)을 발행하고 ≪시대일보(時代日報)≫를 창간하는 등 지속적인 출판운동을 펼쳤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

민족 운동가로서의 면모는 1927년 변화의 양상을 맞이했다.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조선사편수위원회’에 참여하게 되면서부터 최남선은 친일 성향으로 변모했다. 일제의 기관지인 ≪매일신문≫에 적극 참여하고 중추원 참의를 지냈으며 1939년에는 만주국의 건국대학 교수로 재직하게 되었다.

해방을 맞이하고 반민족행위자처벌법이 발효되면서 최남선은 반민특위에 의해 체포되었다. 그러나 서대문형무소에서 지낸 수감생활은 짧았다. 그는 곧 보석으로 풀려났고 반민특위가 이승만 정부에 의해 무력화되면서 그의 친일행위에 대한 사법적 판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해방기에서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에도 우리 역사에 대해 연구했으며 1951년 해군전시편실 고문을 지내고 1952년 육군대학에서 역사를 강의했다. 1955년 뇌일혈로 쓰러진 후 투병하다가 1957년 10월 10일, 향년 68세에 세상을 떠났다.

한줄 서평